Language/Python

    네이밍 컨벤션

    클래스 이름 CapWords ex) ClassName 예외 이름 예외도 클래스이므로 클래스 네이밍 규칙을 따름 항상 접미사는 "Error"를 사용 ex) ErrorClassName 함수 및 변수 이름 스네이크 케이스 ex) function_name 예약어와 충돌이 나는 경우 뒤에 밑줄 사용 ex) class_ private 메서드일 경우 앞에 밑줄 사용 ex) _class 상수 대문자와 밑줄 사용 ex) MAX_OVERFLOW

    파이썬의 변수

    변수 할당 다른 언어의 경우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미리 선언하고 정의해야 합니다. 파이썬의 경우 이러한 과정은 필요 없습니다. >>> n = 300 위 코드는 "변수 n에 300을 할당"이라고 해석합니다. 이런 식으로 파이썬은 변수에 값을 바로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변수 타입 다른 언어의 경우 한번 선언된 변수의 타입을 사용이 끝날 때까지 지켜야 합니다. 하지만 파이썬의 경우 언제든지 다른 타입을 변수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. >>> var = 23.5 >>> print(var) 23.5# int >>> var = "Now I'm a string" >>> print(var) Now I'm a string# str 객체 참조 파이썬은 모든 변수가 객체입니다. >>> print(300) 300 이러..

    map object

    map 이터러블한 객체의 모든 요소에 함수를 반영하는 파이썬 내장 함수입니다. 아래의 예시처럼 'str' 함수를 이터러블한 객체인 리스트의 모든 요소에 반영하여 int형이었던 요소들을 str형으로 일괄 변경되었습니다. num_list = list(map(str, [1,2,3,4,5,6])) print(num_list) # ['1', '2', '3', '4', '5', '6'] map object map 함수를 리스트로 묶지않으면 이터레이터인 map object를 반환합니다. 이터레이터의 특징인 한번 사용한 뒤 재사용하려면 다시 정의를 해주어야 합니다. 아래의 예시를 보면, num_list의 최댓값을 구한 뒤, 최솟값을 구하려고 하면 시퀸스가 비어있다고 합니다. num_list = map(int, ['1'..